1998년 안동시 정상동 택지개발지구에서 이름 모를 무덤을 이장하는 중에 미이라 한구가 발견되었다.
처음에는 시신을 보호하는 외관을 보고 최근의 무덤이 아닌가 생각되었으나 발굴작업이 진행되자 400여년전 조선시대의 무덤이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무덤 속에서 온전히 그대로 보존되어 있는 옷가지와 여러가지 소품들 중에 요절한 남편을 그리는 애절한 사연이 담긴 아내의 편지와 남편의 회복을 기원하는 미투리가 발견되었다.
무덤속의 망자는 고성이씨 이응태(1556~1586년) 였다. 남편이 젊은 나이(31세)에 병석에 눕자 아내(원이엄마)는 남편의 병이 낫기를 기원하면서 자신의 머리카락과 삼을 엮어 정성껏 미투리를 삼았다. 그러나 남편은 그 신을 신어 보지도 못한 체 끝내 저 세상으로 가버리고 말았다.
진실로 서로를 사랑하며 백발이 될 때까지 함께 해로하고자 소망했던 이들 부부의 육신은 비록 떨어져 있을지언정 영혼은 지난 세월 동안에도 줄곧 함께였다. 긴 어둠의 세월 속에서 사랑을 지켜온 것은 아내가 써서 남편의 가슴에 고이 묻어둔 마지막 편지였다.
무덤이 발견되었던 자리에 “원이엄마상” 이 조성되었고 안동댐에는 미투리를 형상화한 월영교라는 아름다운 목조다리가 놓였다.
또한 KBS TV <역사스페셜>에서 “조선판 사랑과 영혼”이라는 프로그램으로 방영되었으며 세계적인 고고학저널인 "앤티쿼티"지에 표지논문으로도 실렸었다. 원이 아버님께 상백 병술년 유월 초하루날 집에서 자내 항상 날더러 이르되 둘이 머리 세도록 살다가 함께 죽자 하시더니 어찌하여 나를 두고 자네 먼저 가시나 나하고 자식하고 뉘 구걸하며 어찌 하며 살라 하며 다 던지고 자네먼저 거시는고 자내 날 향해 마음을 어찌 가지며 나는 자내 향 해 마음을 어찌 가졌던고 매양 자내더러 내 이르되 한 데 누어서 이보소 남도 우리 같이 서로 어여삐 여겨 사랑하리까 남도 우리 우리 같은가 자내더러 이르더니 어찌 그런 일을 생각지 않고 나를 버리고 먼저 기시는고 자내 여의고 아무리 내 살 수 없 으니 수이 자내 한테 가고져 하니 날 데 려 가소 자내 향한 마음을 이승에 찾을 리 없으니 아무래도 설운 뜻이 가이 없 으니 이 내 안은 어디다가 두고 자식 데리고 자내를 그리며 살려나 하노 이 따 이내 편지 보시고 내 꿈에 자세히 와 이 르소 자네 내 밴 자식 낳으면 보고 말할 일 많은데 그리 가시더라 밴 자식 낳으면 뉘를 아버지라 하는고 아무리 한들 내 안 같을까 이런 천지 자온한 일이 하늘아래 또 있을까 자네는 한갓 그리 가 계실 뿐이지만 아무리 한들 내안 같이 서러울까 끝이끝이 가히 없어 대강만 적네 이 편지 자세히 보 시고 내 꿈에 자세히 와 보이고 자세히 이르소 나는 꿈에 자네 보이리라 믿고 있네 이따 몰래 보이소서 하아 끝이 끝이 없어 이만 적소이다 1998년 4월 어느 날 경상북도 안동시 정상동 기슭에서는 주인모를 무덤 한기의 이장작업이 있었다. 최근에 만들어진 것처럼 목관은 썩지 않고 나뭇결도 선명하니 남아 있었다. 그렇지만 조선중기의 유물들이 대량으로 나오면서 발굴 작업은 밤중까지 진행되었으며 그중에 하일라이트는 한편의 편지 글이었다. 어린아이와 임신 중인 아내를 남기고 죽은 남편의 이름은 고성 이씨 가문의 31세의 키 180Cm이상인 장골의 이응태 라는 것이 밝혀졌다. 망자의 형은 이몽태이며 이응태에게 한 장의 편지를 무덤에 남겼으며 현감벼슬을 지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응태의 부친도 생전에 주고받은 7장의 편지를 무덤에 남겼다. 유물 중에는 아내가 생전에 병석중인 남편의 건강을 비는 마음으로 만들어준 미투리(신발)가 발견되었는데 놀랍게도 아내의 머리카락으로 만든 것이다(편지내용참조). 현재도 남아있는 안동시 정상동의 귀래정이 망자의 생가이다.
이응태는 명종11년에 태어났다. 그의 아들과, 그의 할머니의 묘는 발견했으나 이응태 처의 정체는 파악할 수 없었고 아들무덤근처의 이름 없는 낮는 봉분이 이응태 아내의 무덤이라고 유추할 뿐이다. 그러나 무덤에서 나온 여성 장옷을 분석하여 키가 160cm정도의 여성이라고 추측한다. 이응태 부부는 서신을 통해 시부모와 떨어져 살았다는 걸 알 수 있다. 기록에 의하면 당시 처가살이는 일반화된 관습이었다. 또 편지에서 아내가 남편에게 자네라고 2인칭으로 일컬었다. 이것을 통해 그들이 살았던 시대는 남녀가 동등했음을 알 수 있다. 또 당시의 분재기들을 분석해보면 남녀가 균등하게 재산을 평분했음을 알 수 있다. 조상의 제사 역시 남녀 구분 없이 자식들이 번갈아가며 지냈고 아들이 없더라도 양자를 들이지 않고 딸이 제사를 지냈다.
400년 전 진실로 서로를 사랑한 이응태 부부는 육신은 비록 떨어질지언정 그들의 영혼만은 서로 사랑했을 것이다. 이 1장의 편지를 통해 조선중기 사대부 가문의 부부생활을 엿볼 수 있었고 이 시기 여성들은 법적, 경제적으로 남성과 평등한 권리를 가졌으며 재산분할도 동등한 시기였다. 한국에 교환교수로 와 있던 기타노 노부시에는 일본 간사이 외국어대학교의 민속박물관에 보관된 일기(임진왜란 때 왜군이 강탈해간 것임)가 원이 엄마가 쓴 것으로 추정된다고 주장한다. 무덤편지와 간사이대학 일기를 바탕으로 소설이 쓰여 졌고 영화로도 만들어진다. 2005년 4월, 무덤이 발굴된 곳에서 약 400미터 떨어진 안동 법원 앞에는 원이 엄마 동상과 편지글을 새긴 비석이 서있다.
시신 누운 모습..망자의 가슴을 덮고 있던 한지... 이것을 조심스레 돌리자... 거기, 한글 편지가 있었습니다.
현대적인 문체로 재편집한 편지글!
당신! 언제나 나에게 '둘이 머리 희어지도록 살다가 함께 죽자'하셨지요. 그런데 어찌 나를 두고 당신 먼저 가십니까? 나와 어린아이는 누구의 말을 듣고 어떻게 살라고 다 버리고 당신 먼저 가십니까? 당신 나에게 마음을 어떻게 가져왔고 또 나는 당신에게 어떻게 마음을 가져 왔었나요? 함께 누우면 언제나 나는 당신에게 말하곤 했지요. "여보, 다른 사람들도 우리처럼 서로 어여삐 여기고 사랑할까요? 남들도 정말 우리 같을까요?" 어찌 그런 일들 생각하지도 않고 나를 버리고 먼저 가시는가요? 당신을 여의고는 아무리해도 나는 살 수가 없어요. 빨리 당신께 가고 싶어요. 나를 데려가주세요. 당신을 향한 마음을 이승에서 잊을 수가 없고, 서러운 뜻 한이 없습니다. 내 마음 어디에 두고 자식 데리고 당신을 그리워하며 살 수 있을까 생각합니다. 이내 편지 보시고 내 꿈에 와서 자세히 말해주세요. 꿈속에서 당신 말을 자세히 듣고 싶어서 이렇게 써서 넣어 드립니다. 자세히 보시고 나에게 말해 주세요. 당신 내 뱃속의 자식 낳으면 보고 말할 것 있다하고 그렇게 가시니 뱃속의 자식 낳으면 누구를 아버지라 하라 시는 거지요? 아무리 한들 내 마음 같겠습니까? 이런 슬픈 일이 하늘 아래 또 있겠습니까? 당신은 한갓 그곳에 가 계실 뿐이지만 아무리 한들 내 마음같이 서럽겠습니까? 한도 없고 끝도 없어 다 못쓰고 대강만 적습니다. 이 편지 자세히 보시고 내 꿈에 와서 당신 모습 자세히 보여주시고 또 말해 주세요. 나는 꿈에는 당신을 볼 수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 몰래 와서 보여주세요. 하고 싶은 말, 끝이 없어 이만 적습니다. |
'사람 사는 이야기(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달래와 철쭉과 연산홍의 차이점 (0) | 2018.04.18 |
---|---|
진달래 (0) | 2018.04.18 |
눈을 감고 세상을 보다 (0) | 2018.03.04 |
역사 속에 나타난 개의 의미 (0) | 2018.01.01 |
행복의 조건 (0) | 2017.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