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람 사는 이야기(사진)

담양 소쇄원

by 안규수 2022. 3. 27.

 

 

                                            소쇄원 초입의 이 대나무 숲은 너무나 그윽하여

                                지금까지 길을 따라왔던 바깥을 걸러내고 완전히 망각하게 하는, 이제부터는

                                '전혀  다른 세계'로 진입한다는 느낌을 갖게 한다. 

 

 

 

 

 

 

 

 

 

 

 

 

                                   '그늘의 터널'이 끝나니 갑자기 햇빛이 쏟아졌다. 흙돌담 곁에 두고

                                    대봉대待鳳臺가 서있다. 봉황처럼 귀중한 손을 맞으려고.

 

 

 

 

                                        동쪽 담에는 '애양단愛陽壇'이라고 새겨진 판이, 

                                    ㄱ자로 꺾인 곳에는 '오곡문五曲門'이라 새긴 판이 박혀 있다.

                                     (五曲門이란 담 밑으로 흘러든 물이 암반 위에서 다섯 굽이를

                                      이룬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담 밑으로 넓적한 바위를 걸쳐 놓아 소쇄원으로 흘러드는 냇물이

                                   자연 그대로 흐른다.

 

 

 

                                 소쇄원에 들어온 사람은 이곳에서 외나무다리로 계류를 건너게 된다.

 

 

 

                           담 밑으로 들어온 물은 굽이를 이루고 폭포를 이루며 정원 가운데로 흘러가고,

                           그 가운데 일부는 나무 홈대에 이끌려 대봉대 아래 연못으로 간다.

 

 

 

 

  

                                   우리가 너무 잊고 잃어버린 것들 / 그러나 끝끝내 찾아야 할 것들이

                                   모두 예 와서 모여 살고 있구나

                                   물소리, 솔바람소리, 대 바람소리

                                   옛 사람들의 하늘과 뜻이

                                                              詩 ; 김준태     

 

 

 

 

                                         소쇄원의 두 건물인 광풍각과 제월당은,

                                         송나라 사람 황정견이 주돈이의 사람됨을 가리켜

                                        '가슴에 품은 뜻의 맑고 맑음이 마치 비 갠 뒤 볕이 나며

                                         부는 바람과 같고 맑은 날의 달빛과 같다'고 한 데서 따온 것.  

 

 

 

 

                                              제월당 후원이 대청의 판문 가득히 들어 온다.

 

 

 

                             제월당을 지나 광풍각으로 가는 동선. 자연 안에 자연의 산물로 집과 담장을

                             만들고 계단을 만드니 자연스럽지 않은 것이 하나도 없다. 

 

 

 

                                        기존에 있던 나무 한 그루를 위해 틈을 내 담을 쌓았다.

 

 

 

 

 

                              사랑방격인 광풍각은 중앙 한 칸만 온돌방이고 나머지는 마루이다. 온돌방도

                              한 면만 벽일 뿐 나머지는 삼분합문을 설치해 들쇠로 들어올리면

                              완벽에 가까운 공간 환원을 이루어 시원스런 눈맛을 갖게 한다. 

 

 

 

                                 빈 골짜기에 가로 얹혀 대숲 뚫려/ 내리 보니 둥둥 뜬 듯 아슬도 하네

                                 숲 속의 임당林塘은 저절로 아름다운데/ 이를 얻어 더욱 맑고 그윽하구나 

                                                      -김인후의 '소쇄원 四十八詠'중 -

                                                     "대숲 사이로 위태로이 걸친 다리"-

 

 

                                                     흐르는 물이 돌을 씻어 내려오니

                                                     흰 바위가 온통 골짜기를 꿰뚫었구나

                                                     흰 깁을 중간에 편 듯이

                                                    기운 벼랑 하늘이 깎아 기울였나 봐
                                                        - 김인후의 소쇄원 四十八詠 중 -

                                                           "가파른 바위에 펼쳐진 계류"-

 

 

                                       댓잎의 사각대는 소리를 뒤로 하고 송강정으로 향한다.

      

 

   

                                                      소쇄원을 떠나 남도 길을 달리며

                                                   들판 가득 핀 자운영에 탄성을 연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