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b5peAG/btsKtKlgSKy/VWWFiBjiVqZPFzbwY5quB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jaKKz/btsKtJmn8Nq/0b6VE8oDnkGzN3bh8dZkm0/img.jpg)
노화는 자연스러운 삶의 과정이다. 그런데 탄수화물 함량이 높거나 자극적인 음식과 같이 건강에 나쁜 음식을 먹으면 노화는 가속화된다. 건강하게 나이 드는데 도움이 되는 ‘저속노화식단’에 대해 알아본다.
◇흰 쌀밥 대신 잡곡 섞기노화를 늦추기 위해서는 단순당과 정제 탄수화물 섭취를 줄이는 대신, 잡곡과 양질의 단백질을 골고루 섭취하는게 좋다. 흰 쌀밥 대신 ‘저속노화밥’을 만들어 먹는 게 한 방법이다. 저속노화밥은 귀리, 현미, 백미, 렌틸콩을 2대 2대 2대4 비율로 지은 밥을 말한다. 저속노화밥 속 곡물들은 혈당 조절 등 여러 건강 효과가 있다. 귀리는 미국 타임지에서 선정한 슈퍼 곡물 중 하나로, 필수아미노산과 비타민B가 풍부하다. 식물성 단백질 함량이 백미보다 2.8배 더 많아 고단백·저열량 곡물이다. 현미는 각종 비타민, 철분, 마그네슘 등 다양한 필수 영양분을 함유한다. 현미 역시 혈당을 조절해 심장 건강을 향상해 준다. 렌틸콩도 마찬가지로 단백질과 미네랄 등 영양분이 풍부하다. 렌틸콩 속 항산화 성분은 세포 재생에도 효과적이다.
◇단백질 충분히 섭취해야건강한 단백질을 충분히 먹는 것도 노화를 늦추는 방법이다. 단백질은 여러 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3대 영양소 중 하나다. 다양한 기관과 호르몬 등 신체를 구성하기 때문에 몸에서 물 다음으로 많은 양을 차지한다. 단백질은 면역 기능과 근육 생성에도 필수적이기 때문에 하루에 성인 체중 1kg당 0.8g을 섭취하는 게 좋다. 단백질을 다량 함유한 식품으로는 닭고기, 칠면조 고기, 생선, 두부, 병아리콩, 요거트 등이 있다. 소고기나 돼지고기 등 적색육에도 단백질이 풍부하지만, 콜레스테롤 함량도 높다. 따라서 되도록 흰살생선, 두부, 콩 등을 통해 단백질을 섭취하는 것을 권장한다.
◇채소-고기-탄수화물 순으로 섭취해야'어떤' 음식을 섭취하는 것만큼 음식을 ‘어떻게’ 먹는 것도 중요하다. ‘거꾸로 식사법’이 노화의 속도를 늦추는 데 도움이 된다. 거꾸로 식사법이란 식사할 때 채소나 나물을 먼저 섭취하고, 이후 고기나 생선, 마지막으로 밥과 면 등 탄수화물 순서대로 식사하는 방식이다. 채소나 나물 등 식이섬유를 가장 먼저 먹게 되면, 혈당이 느리게 오르고 포만감을 오래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탄수화물을 먼저 섭취하면 혈당이 급격하게 오르고, 오른 혈당을 안정시키기 위해 인슐린이 대거 생성된다. 이때 인슐린이 혈액 속 당을 지방으로 저장하기 때문에 혈당을 천천히 오르게 하는 식품을 가장 먼저 섭취하는 게 좋다. 또한 식이섬유는 다른 영양분에 비해 소화가 더딘데, 그 덕분에 단백질과 탄수화물도 잇따라 천천히 소화된다. 소화가 오랫동안 진행되면 배고픔을 느리게 느낄 수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lc7yG/btsKtWyXrEm/IzXBdT8Yo7sVLiDexuk1B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DL7X5/btsKucIjI9D/lmW4S5xuHXmU39JqWOqmW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yBAPn/btsKvfRxP5x/We2umuENmYk6KE5C1WYv1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rZbS2/btsKvgpnRbS/BOw0bKGBqLU2Xmy8pV2W91/img.jpg)
'사람 사는 이야기(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간 200만 명이 ‘이곳’ 눈 축제 즐기러 찾는다는 ‘그곳’ (0) | 2025.02.05 |
---|---|
한겨울의 시든 꽃들 (0) | 2025.02.05 |
의외로 '독소' 품고 있는 열매… 설사 위험 제철 음식 5가지는? (0) | 2024.11.02 |
가을 즐기는 최고의 방법 '등산'… 허리 아픈데 괜찮을까? (5) | 2024.10.11 |
이순신도 쉬어간 남해 '창선도 왕후박나무'…가치 보존 본격화 (2) | 2024.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