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 수석水石/ 안규수
제주는 꿈의 섬이다.
짧은 가을 해가 설핏한 날, 나는 제주 한라산 중산간에 있는 수필가 K의 고향 마을을 찾아갔다. 작은 길을 굽이굽이 돌아가는 길에서 뜻밖에 넓은 밭에 수없이 얽히고설킨 밭담을 만났다. 마침 밭에서 일하시는 마을 어르신을 만나 이런 밭담은 언제 어떻게 쌓았는지 물었다.
“이런 돌담은 이 마을이 생긴 지 500년쯤 되니 그때부터 쌓은 거지.”
화산섬 제주도는 돌의 고장이다. 제주도 어딜 가나 흔하게 볼 수 있는 돌담은 화산석 현무암이다. 최근 많은 사람이 찾고 있는 올레길이나 치유의 숲 등 중산간 지대에도 돌담은 흔하게 볼 수 있다. 섬의 특성상 물을 저장하지 못해 농사짓기에는 불리한 환경이지만 사람들은 돌을 활용하여 슬기롭게 살아왔다.
제주에서는 돌담 쌓는 일을 업으로 삼는 사람을 ‘돌챙이’라고 부른다. 담장 높이가 대개 성인의 허리춤, 높아도 가슴께 정도로 낮다. 얼기설기 대충 쌓은 듯 보이지만 제대로 된 돌담은 반드시 돌챙이의 손을 거쳐야 무너지지 않는다고 한다. 돌담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돌과 돌 사이의 구멍이다. 바람에 맞서지 않고 바람길을 적당히 터주는 그 비율을 잘 맞춘 돌담은 태풍이 몰아쳐도 무너지지 않는다고 한다. 돌담의 신비가 거기에 있다. 옛날부터 숱하게 고난을 겪어온 섬사람들의 삶에 짙게 배어 있는 지혜이기도 하다. 섬사람들에게 바람은 숭배의 대상이다. 해녀는 제주의 상징이자 정신이고 생활의 방편이다. 바다에 해산물을 채취하는 해녀에게 바람은 신적 존재이기에 무사와 풍어를 기원하는 제를 올린다.
제주삼다(三多) 중 제주를 대표하는 문화적 지표가 돌이다. 사람이 사는 집, 짐승이 사는 집, 신이 사는 집, 모두 돌담을 두른 것을 보면 돌은 생존을 위한 구조물이기도 하다. 돌담은 바람을 막아주고 경계를 확정하며 기르는 동물을 보호해주고 주거와 농업, 목축, 어로 생산력을 담당했던 역사적 의미를 갖는 대표적인 미학이고 문화경관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제주에서 돌의 역사와 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곳이 조천읍 남조로 있는 돌문화공원이다. 70년대 제주에 처음 가서 들린 곳이 제주시의 목석원이었다. 현무암으로 꾸민 갑돌이와 갑순이 스토리텔링은 지금도 기억에 생생하다. 그 목석원을 이곳으로 옮겨 왔다. 지하 돌 문화 전시관은 제주 돌 문화를 역사적으로 살펴볼 수 있고 섬사람들이 생활 속에서 돌을 어떻게 활용해 왔는지 한눈에 볼 수 있는 수석(水石) 전시관이다.
지하 수석실 입구에 서예가 소암 현중화 선생의 ‘수급불류월 (水急不流月)’이라는 현판이 눈에 띄었다. 이 글의 출전은 세림보훈(細林寶訓), 중국 호양(胡羊)의 서법에서 따온 글이다. 직역하면 '물은 급하게 흐르지만, 수면 위의 달은 흐르지 않는다' 뜻이다. 이는 세월이 아무리 빠르게 변한다 해도 초심은 흔들리지 않아야 한다는 새김이다. 부부로 산다는 것은 세월과 함께 몸은 늙어 갈지라도, 아내를 사랑했던 그 아름다운 기억을 꼭 붙잡고 살아야 한다는 뜻으로 새겨졌다. 나는 고운 머릿결이 어느새 희끗희끗한 아내의 손을 꼭 잡았다.
섬 제주를 조망할 수 있는 모형의 전시실을 지나 수석실에 들어섰다. 한라산 형상을 축소해 옮겨다 놓은 듯하다. 불꽃이 이글거리는 붉은 화산석, 자연석으로 산수 미의 경치와 기묘함, 회화의 색채가 조화를 이루고 추상미를 발산하고 있었다. 전시실 끝 무렵 화장실 옆에 서 있는 아기를 업은 엄마 상像 수석이 나의 눈길을 끌었다. 한여름 밭에서 김을 매시고 땀에 절어 후줄근한 모습으로 집으로 돌아오시는 엄마 모습이 눈앞에 아른거렸다.
공원 후문을 통과하기 전 ‘어머니 방’에 약 1.5미터 높이의 풍암석은 돌문화공원의 상징적 수석이다. 이 수석의 별미는 그림자 영상으로 마치 설문대할망이 아기를 안고 있는 형상을 연출하고 있다. 나는 그 앞 작은방 모자상 수석 앞에 우두커니 서 있었다. 설문대할망과 차귀도 부근에 석상으로 우뚝 서 있는 그의 막둥이 아들이란다. 잔뜩 얼어붙은 아들이 무슨 잘못을 저질렀는지 엄마 앞에서 무릎을 꿇고 두 손으로 빌고 있는 형상이다. 회초리를 들고 아들을 꾸짖는 엄마의 잔뜩 화난 얼굴이 험상궂다.
어린 시절, 나는 가을이 무르익어 갈 무렵 동무들과 동네 기와집 밤밭에 들어가 몰래 알밤을 줍다가 할아버지에게 들켜 도망쳤다. 당산에서 놀다 집에 들어가니 벌써 기와집 할아버지가 다녀간 뒤였다.
“니놈 보고 사는 애미는 어쩌라고 그러고 댕기냐”
그날 밤 눈물이 그렁그렁한 엄마의 회초리 맛은 짜고 매웠다. 나는 저녁도 안 먹고 울다 잠들었다. 잠결에 들려오는 소리, 엄마는 아들 종아리를 어루만지면서 소리죽여 흐느끼고 있었다.
누군가 엄마를 이해하려면 그 나이가 돼봐야 안다고 했다. 엄마는 내게 푸른 나무였다. 잎과 줄기를 다 내어 주고, 과실을 주고, 마지막 수액까지 나눠 주고, 훗날 가지가 잘린 빈 그루터기만 남아도 기억에 기대어 앉아 쉴 수 있게 하는 아낌없이 주는 나무였다. 돌 문화공원을 나서니 벌써 한라산 서쪽 하늘이 발갛게 물들고 있었다. 하늘엔 새 떼가 집을 찾아 들고, 우거진 수풀에선 여리고 날카롭게 우는 귀뚜라미의 울음소리가 처량하다.
섬의 돌들은 크든 작든 그와 마주해 앉으면 그 자리에 그렇게 있어 온 저마다의 몸짓으로 다가와 준다. 멀리서는 그저 비슷해 보이는 것들도 어느 하나 모양새, 차림새가 저만한 게 없다. 소박한 섬사람들의 채취가 묻어 있는, 그 빚어내는 빛깔이며 바람결의 감촉마저 다르게 느껴진다. 그들이 간직한 숱한 이야기가 나그네의 귀를 기울이게 한다. 정어린 속삭임으로.
내가 두 발로 걸어서 한라산을 오르고, 돌문화공원에서 가슴 뭉클한 감회에 젖을 날도 머지않다. 하지만 나는, 시간이 허락하는 한 여행을 멈추지 않겠다.
<* 수필과 비평 ‘23. 3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