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신작 수필

곤충과 인간

by 안규수 2023. 12. 1.

                                                           곤충과 인간 / 안 규수

 

 

      세상은 넓다. 인간이 만물의 영장이라는 오만함은 많은 것을 인간의 잣대로 판단한 결과이다. 먹을 수 있는 식물은 작물이라 부르고 애써 가꾸지만, 그 작물의 생장을 방해하는 식물들은 잡초라 부르며 뽑아내길 망설이지 않는다. 어떤 새의 생김새나 울음소리가 보기에 좋다거나 혹은 거슬린다고 하여 길조吉鳥 또는 흉조凶鳥로 나누어 차별한다. 수많은 동물일 때와 장소, 공교로운 사건들과 맞물려 상서로운 영물과 부정한 동물로 나눠 기꺼워하거나 꺼리며 피한다.

  곤충을 편의에 따라 해충과 익충으로 나눠 대하는 것은 당연한 절차였다. 고마움보다는 서운함이 오래가고, 은혜보다는 원한을 잊기 어려운 법이니 우리에겐 해충의 기억이 더 강렬하다. 게다가 익충의 도움은 간접적이지만, 해충의 피해는 직접적이다. 흐드러지게 핀 복사꽃 사이를 날아다니는 꿀벌과 달콤한 복숭아 사이의 연관성은 직접적으로 드러나진 않지만, 지금 내 팔뚝에서 모기가 피를 빤 곳이 벌겋게 부어오르며 가려운 것은 너무나도 직관적이기 때문이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사람에게 발진티푸스를 옮기는 종류의 이(lice)는 무려 817만 년 전, 그러니 호모 사피엔스가 옷이라고 부를 만한 것을 몸에 걸치던 시절부터 몸에 걸친 털가죽에 숨어서 피를 강탈하고 병을 퍼뜨리는 악당 역할을 해왔다고 한다. 그러니 인류에게 있어 곤충이란 해로운 존재, 적어도 하찮고 귀찮은 것이라는 인식이 강했다. ‘벌레 같다라는 말이 욕설인 이유도 이 때문일 것이다.

  인간의 눈이 아닌 제삼자의 눈으로 바라보면 상황은 반전된다. 많은 생태학자는 지구를 곤충의 행성이라 말하길 주저하지 않는다. 그 이유로는 먼저 곤충의 다양성을 들 수 있다. 인간이 발견해 이름을 붙인 생물체들의 목록을 보면, 현재까지 알려진 135만여 종의 동물 중에 무려 96만 종이 곤충으로 분류된다. 동물의 70%는 곤충인 셈이다. 생물 진화의 기본 원리가 어떤 환경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도록 다양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기본 패턴임을 생각한다면, 곤충만큼 진화적 대전제에 충실한 생물종도 없다. 열대에서 극지방까지, 사막에서 갯벌까지, 지하에서 창공에 이르기까지 곤충이 없는 곳은 없다.

  곤충은 가장 오랫동안 이어져 온 생물종이기도 하다. 최초의 곤충이 지상에 등장한 것은 고생대 실루리아기오르도비스기다. ‘세상에 나쁜 곤충은 없다의 저자 안네 스베르드루프 튀게 손은 이를 일컬어 곤충은 공룡이 탄생하고 번성하고 멸종하는 전 과정을 지켜본 종이다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육상동물의 화석이 발견된 시기가 이즈음인 것을 생각한다면, 곤충은 가장 초기의 육상 이주자 중의 하나 혹은 그 가까운 후손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더욱 놀라운 건, 곤충은 그 긴 세월 동안 몇 번이나 반복되었던 생물 대멸종의 시기를 무사히 견디고 살아남았을 뿐 아니라, 그 개체 수 역시 압도적이라는 사실이다. ‘곤충의 통찰력을 지은 길버트 월드 바우어는 작금의 인류는 예외 없는 인구 대폭발의 시기를 지나고 있지만, 여전히 지구상에는 사람 1명당 곤충이 2억 마리의 비율로 존재하며, 지금 지구상에 존재하는 곤충의 수는 바닷가 모래알만큼이나 많다고 말한다. 곤충이야말로,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끈질기며, 가장 번성한 육상동물이라 할 수 있다.

  이런 곤충의 생태적 성공은 홀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곤충이 번성한 바탕에는 식물이 있었다. 많은 곤충이 식물과의 공진화를 통해 진화성, 다양성을 키워왔다. 그 결과 현존하는 곤충의 30%는 오로지 식물만 먹는 식물성 곤충이며, 전체 식물 종의 70%를 차지하는 속씨식물 중 열에 아홉이 곤충을 통해서만 꽃가루받이를 할 수 있다. 곤충과 속씨식물이 각각 동물군과 식물군 중에서 가장 번성한 생물종인 것은 이유가 있었다. 또한 다윈이 무려 30cm에 달하는 긴 꿀주머니를 가진 마다가스카르 난초만 보고도, 분명 이 난초에 꼭 맞는 긴 주둥이를 지닌 곤충이 존재할 거라고 확신한 이유도 이 때문이다.

  하지만 공진화해 왔다고 식물과 곤충의 관계가 늘 우호적인 것만은 아니다. 식물은 열매를 맺기 위해 화려한 색과 독특한 향과 달콤한 꿀로 곤충을 유혹하는 동시에, 단단한 껍질과 뾰족한 가시와 유독한 알칼로이드로 이들을 물리친다. 날카로운 턱으로 풀잎을 씹는 곤충이 있는가 하면, 소화액을 분비해 곤충을 잡아먹는 벌레잡이식물도 있다. 그렇게 식물과 곤충은 수억 년 동안 완벽한 승자도 패자도 없는 미묘한 균형을 이루어 왔다.

  이들의 측면에서 보면 인간은 진화의 기나긴 시간 중 아주 최근에 나타난 변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오랫동안 인간의 역할은 그들 사이의 끈끈한 유대관계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그저 몇몇 육식성 곤충이 인간을 새로운 먹잇감으로 삼고 기생하는 전략을 취했고, 이에 따라 인류는 큰 피해를 본 바 있다. 중세 유럽의 인구를 3분의 1로 줄였든 흑사병은 쥐에 기생하든 벼룩이 원인이었으며,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피해자를 낸 것으로 알려진 말라리아 매개충은 모기였다.

  인간이 식물과 곤충의 공존 시스템에 끼어들어 미친 영향은 이보다 훨씬 크다. 인류는 농사를 통해 인위적으로 소수의 특정 식물 종의 수와 밀도를 기형적으로 증가시켰고, 효과 좋은 살충제의 개발로 인해 곤충을 대량으로 살상하기도 했다. 이 정도로 인해 수억 년 동안 조율해 온 관계가 한순간에 무너질 것은 아니었으나, 인류에 의한 대규모 서식지 파괴와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로 식생 분포가 큰 폭으로 변동하면서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유지해 왔던 곤충과 식물의 안정적 균형이 심각하게 깨지고 있다. 생태 시스템의 측면에서 본다면, 가장 최근에 등장해 수억 년간 이어져 왔던 안정적 균형을 깨뜨린 파괴자가 인간이다.

  요즘 멸종된 빈대가 우리나라에 상륙하여 말썽을 피우고 있다. 이 빈대는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살충제에 면역이 생겨서 방제가 어렵다고 한다. 이런 현상의 원인은 기후 변화로 인한 생태계 파괴에 있다고 한다. 몸살을 앓고 있는 지구를 구할 수 있는 길은 무엇일까?

'나의 신작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숲 언어들  (1) 2023.12.01
금강소나무  (0) 2023.12.01
새로운 인생 길  (1) 2023.12.01
지구는 큰일 났다!  (0) 2023.12.01
불의 심판  (1) 2023.12.01